(장준영) 팀 프로젝트 (3일차) - 알약 상세정보 검색 서비스 [백엔드]

2024. 5. 11. 12:18프로젝트 일지

프로젝트 배경

데드라인 5일 남았다, JWT 구현중이고

이메일 인증, .. 수많은 api 구현을 남겨둔 상태다 

 

데드라인 5일 남아서 타협을 보기로했다

나는 JWT 방식을 이해하고 스스로 다 구현하고싶었지만

지금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라, 팀원이 예전에 개인적으로 사용했던 JWT를 가져와 붙여넣어서

JWT 인증, 인가가 구현 돼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JWT 로그인 구현 외의 api 들을 코딩하면 된다

 

IA 받아서 어떤 api를 구현하면 되는지 먼저 살펴볼거다

 

구현해야 할 api 들을 받아보니 

최초로그인 내에 질병정보 등록 기능과

처방전 등록 기능이 생각보다 많이 복잡해서 데드라인을 맞추기 힘들 것 같아서

팀장이랑 이야기를 해서, 현재 프론트쪽 구현의 거의 다 끝났으니 

우선 남은 데드라인동안 

핵심 api인 최초로그인, 처방목록 기능만 백엔드팀에서 구현하고

백엔드 구현 데드라인이 끝나고 나머지 api들은 CRUD만 담당하기때문에 프론트팀이 붙어서 같이 해결하기로했다

 

내가 스프링부트 백엔드를 처음부터 해보고싶다는 욕심때문에 백엔드가 밀렸는데

스프링부트를 해본적 없는 입장에서, 스프링부트를 공부해서 해야겠다 라는 생각으로 

1주일동안 스프링부트 공부를 했다, 대학생들이라 팀플간에 소통이 원할하지 않았던 배경이 있긴 하지만

개인 공부를 끝내고, 이제 프로젝트 구현에 참여하려고하니 기능정의와 디비가 다 짜져있었다 

그상태에서 JWT 구현과 이메일 인증도 공부해서 구현을 하려했는데 데드라인이 촉박한 상황이였고

JWT 구현 이메일 인증을 직접 공부해서 하다가는 데드라인에 절대 못 맞춘다는 판단을했다

 

그리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니 짜여진 디비가 뭔가 이상한것이다...

RDB를 쓰는데 몽고DB의 임베딩 방식? 으로 디비가 만들어져있는거다

근데 내가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 됐던건지, 처음엔 도식화된 디비 그대로 엔티티를 짜야한다는말로 들었고

어떻게 할지고민하다가 이건 아닌거같아서 팀장에게 이야기해보니,

그게 디비 도식화대로 하는게 아니라 필드명을 맞추자 라는 말이였다고 한다

그래서 디비 설계도 처음부터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