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회고록(2)
-
(김유선) 중고거래 사이트를 SPA로 만들기 [회고록]
피드백 1. 일단 csr로 디비와 서버의 효율을 생각하는 게 어려웠다. 서버와 디비의 사용 비용과 어떤 상황에서 비교적 더 부하가 걸리는지 판단할 정도로 디비와 서버를 잘 아는 게 아니라 혼란스러웠다. 서버와 디비가 돌아가는 원리, 비용 등을 더 자세히 공부해야겠다고 느꼈다. 2.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을 덜했던 것 같다. 다른 사이트와 비교해서 벤치마킹하는 건 잘했다고 생각하지만, 화면을 너무 좁게 사용한 느낌이 있었고, 로그인을 시도했을 때 중복된 아이디가 있으면 로그인창이 사라지게 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다시 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일부러 그렇게 만들었었는데 내 생각이 짧았던 것 같다). 개발자인 나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더 많은 움직임을 보여주고 싶다는 욕심이 있었다. 근데 그럴 게 아니라 아무..
2024.04.23 -
(장준영) Vanilla JavaScript로 SPA 구현하기 - 식당/카페 여석 확인 어플리케이션 [에 대한 회고록]
프로젝트의 목적 이론으로만 알고있던 CSR과 SPA 를 직접 만들어보며SPA의 장점을 느껴보고싶었다SPA가 주는 장점 중서버 부하를 줄여주는 장점을 느껴보고싶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고민한것1. SPA를 위해서 브라우저로 보낼 JSON 데이터는 어떤식으로 구성해야 효율적일까?CSR 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한번에 다 보내는게 효율적이다,데이터베이스도 이에 따라 임베딩 방식으로 디자인 하는게 효율적이다 2. CSR 과 SPA 가 어디에나 다 어울리는가 ?인터렉션이 매우 자주 일어나고, 그에따라 즉각적으로 최신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 안 어울린다,SSR은 지금 당장 화면을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만 있으면 되지만,CSR은 거의 모든 화면을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전부 필요로 하기때문에,인터렉션 마다 ..
2024.04.20